본문 바로가기

이 기업이 살아 있다? 코아스템·켐온, 투자자들이 놓친 바이오·비임상 플랫폼의 진짜 가치 대공개

infocvs 2025. 4. 9.
반응형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코아스템’과 ‘켐온’은 생소하거나, 이미 지나간 바이오 종목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이 두 회사는 신약 개발 생태계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며,
임상-비임상-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이라는 독자적 영역에서 진짜 실력을 쌓아가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특히 두 기업의 움직임은 독립적인 것 같으면서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코아스템의 파이프라인, 켐온의 CRO 경쟁력, 줄기세포 치료제의 시장 가능성, 글로벌 진출 전략까지
아직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은 강력한 매력이 숨어 있습니다.

✅ 코아스템은 ALS 치료제를 어디까지 개발했을까?
✅ 켐온은 국내 CRO 시장에서 어떤 위상을 갖고 있을까?
✅ 두 기업은 어떤 연결고리를 갖고 있고, 투자 측면에서 어떤 시너지가 있을까?
✅ 주가는 바닥인데, 실적과 기술력은 정말 괜찮은 걸까?

지금부터 코아스템과 켐온의 기업 정보, 투자 가치, 연구 파이프라인, 그리고 우리가 놓친 미래 전략까지
완벽하게 분석해드릴게요.

이 기업이 살아 있다? 코아스템·켐온, 투자자들이 놓친 바이오·비임상 플랫폼의 진짜 가치 대공개

코아스템 생명과학, 희귀질환 치료제를 겨냥한 바이오 기업

코아스템은 줄기세포 기반의 난치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입니다.
특히 루게릭병(ALS)에 집중해온 것으로 유명하며, 국내 최초의 줄기세포 치료제 ‘뉴로나타-알주’를 개발한 기업입니다.

✅ 기업 개요

  • 설립: 2003년
  • 상장: 코스닥
  • 본사: 서울 / 연구소: 대전 바이오클러스터
  • 대표 제품: 뉴로나타-알주(ALS 치료제)
  • 기술: 중간엽 줄기세포 기술 기반 치료제

📌 현재까지도 루게릭병 치료에 대해 세계 최초 시판된 줄기세포 치료제 기업이라는 상징적 위상을 갖고 있음.

코아스템의 핵심 파이프라인 분석

제품명 적응증 개발단계 특징
뉴로나타-알주 루게릭병(ALS) 시판 중 (국내), 미국 임상 진행 줄기세포 치료제
CKD-701 파킨슨병 비임상 신경 퇴행성 질환 대상
CKD-102 루푸스 전임상 자가면역 질환
CKD-303 간경화 전임상 간섬유화 치료 목표

✅ 투자 포인트

  1. FDA 임상 3상 준비 중: 미국 루게릭병 시장 진출 가능성
  2. 글로벌 기술 수출 가능성 상존: 아시아 외 국가들과 파트너십 모색
  3. 줄기세포 기술 기반: 차세대 난치성 치료제 플랫폼 보유

👉 현재는 ‘실적 없음’이지만, 임상 진전 시 기술가치 폭발 가능성 보유

켐온, 신약개발의 시작을 책임지는 국내 대표 CRO 기업

켐온(Cheon Om)은 신약 비임상 CRO 전문 기업으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신약 초기 단계 실험(독성시험, 효력시험 등)을 대행하는 회사입니다.

✅ 기업 개요

  • 설립: 2000년
  • 상장: 2009년 코스닥
  • 주요 사업: 독성시험, 약효시험, 바이오마커, 동물모델 개발 등
  • 주요 고객: 한미약품, 대웅제약, 종근당, 글로벌 제약사 등

📌 단순 실험 대행이 아니라, 신약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신약개발 첫 관문

켐온의 핵심 사업과 매출구조

사업 분야 설명 매출 비중
일반독성시험 GLP 기반 독성 평가 약 45%
효력시험 후보 물질의 치료효과 확인 약 35%
생물학적 분석 PK/PD 분석 등 약 10%
기타 바이오마커 분석, 컨설팅 등 약 10%

✅ 투자 포인트

  1. 국내 1위 비임상 CRO 인프라 보유
  2. 동물실험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 수익 기반
  3. 글로벌 인증기관(GLP) 등록 → 수출 가능 비임상 서비스

👉 안정적 캐시카우 + 바이오 투자 열기에 따른 수혜주

코아스템과 켐온의 연결고리

흥미롭게도 두 회사는 직접적인 계열사 관계는 아니지만, ‘신약 개발’이라는 한 축을 공유합니다.
즉, 코아스템이 치료제를 개발하는 쪽이라면, 켐온은 그 치료제가 세포독성, 약효, 부작용이 없는지 검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코아스템 켐온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개발 비임상 시험 대행
루게릭병·파킨슨 등 희귀병 타깃 희귀질환 실험 노하우 보유
임상 기반 플랫폼 지향 GLP 인증 비임상 기업

📌 코아스템이 신약의 ‘본체’를 만든다면, 켐온은 그것이 ‘시장에 나갈 수 있는가’를 검증해주는 파트너

우리가 몰랐던 ‘저평가 요인’

코아스템

  • 줄기세포 치료제에 대한 국내 인식 저조
  • 단일 파이프라인 리스크
  • 실적보단 기술 중심 기업이라 ‘적자 기업’ 프레임에 갇힘

켐온

  • CRO 시장 인식 부족
  • 해외 진출 가시화 부족
  • 소외 바이오주 이미지로 기관·외인 관심 적음

👉 이 모든 요인이 현재의 저평가를 만들었지만,
오히려 이 시기가 ‘저점 매수 구간’일 가능성도 큼

두 기업의 향후 전망과 투자 전략

코아스템

  • 미국 FDA 임상 진입 → 기술 수출 기대
  • 정부의 줄기세포 연구 지원 확대
  • 2025년 글로벌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본격 진입 예상

켐온

  • 비임상 CRO 수요 폭발 → 실적 견조
  • 글로벌 파트너 확보 시 ‘폭발적 성장성’
  • 위탁 시험 대행 외에도 자체 기술 확장 움직임 포착

📌 코아스템은 ‘성장성’, 켐온은 ‘안정성’을 보며 분할매수 전략이 유효

✅ 결론: 이 두 회사, 우리가 모르는 사이 ‘신약 생태계의 실력자’가 되고 있다

✔ 코아스템은 세계 최초 줄기세포 ALS 치료제 시판 기업
✔ 켐온은 국내 1위 신약 비임상 CRO 기업
✔ 둘 다 실적보다 기술/역할 가치에 주목해야 할 시점
✔ 지금은 저평가지만, 바이오 업사이클 시작되면 선제적 수혜 예상
✔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신약 생태계를 주도할 수 있는 ‘작지만 강한 기업’

👉 지금 이 순간, 이 두 회사를 공부하고 관찰하는 투자자만이 다음 사이클에서 먼저 움직일 수 있습니다.

📌 FAQ

Q1. 코아스템은 아직 적자인데, 투자해도 될까요?
👉 적자지만 FDA 임상 진입, 글로벌 기술 수출 가능성 등으로 성장 기대치 높습니다.

Q2. 켐온은 신약을 개발하는 회사가 아닌데 왜 주목받나요?
👉 신약을 만드는 모든 제약사들이 켐온 같은 CRO에 실험을 의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Q3.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은 어느 정도 성장할까요?
👉 글로벌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 중이며, 희귀질환 치료제에 강한 니즈가 있습니다.

Q4. 두 회사는 어떤 관련이 있나요?
👉 계열은 아니지만, 코아스템 치료제의 비임상 과정에서 켐온 같은 CRO의 역할이 핵심입니다.

Q5. 지금 사도 늦지 않았을까요?
👉 실적보다는 ‘미래의 임상 이벤트’를 기다리는 종목입니다. 분할매수 전략이 합리적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