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장·야간근무수당, 시급은 어떻게 계산될까? 근무시간 변경 시 완벽 적용법까지 총정리

infocvs 2025. 3. 26.
반응형

직장 생활을 하면서 자주 접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연장근무수당야간근무수당입니다.
그런데 막상 정산 시점이 되면 "이게 제대로 계산된 게 맞나?" 의심이 드는 경우가 많죠.
특히 근무시간이 바뀌었을 때 시급 계산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법적으로 보장되는 연장·야간수당 계산 방법을 제대로 알아야
부당한 임금 누락이나 오류 없이 정확한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장근무수당과 야간수당은 어떻게 다를까?
✅ 시급 계산 시 어떤 공식이 적용될까?
✅ 탄력근무제, 근무시간 변경 시 수당 계산은 어떻게 바뀔까?

지금부터 법정 근로시간 기준부터 실무 계산법, 변경된 스케줄 대응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연장·야간근무수당, 시급은 어떻게 계산될까 근무시간 변경 시 완벽 적용법까지 총정리

1️⃣ 연장근무수당과 야간근무수당의 기본 정의부터 이해하자

📌 먼저, 근로기준법상 수당의 기준 시간대와 지급 조건을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 연장근로수당

  • 기준: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무
  • 추가 지급: 통상임금의 50% 가산
  • 예: 시급 10,000원 → 연장근무 시 15,000원

✅ 야간근로수당

  • 기준: 오후 10시 ~ 오전 6시 사이 근무
  • 추가 지급: 통상임금의 50% 가산
  • 야간에 연장까지 겹치면 이중 가산 가능

👉 즉, 법정 시간 외 근무는 무조건 50% 가산수당이 붙는다!

2️⃣ 시급 계산의 기본 공식, 이렇게 기억하자

✅ 시급 계산 공식

시급 = 월급 ÷ 월 소정근로시간

예)

  • 월급 2,200,000원
  • 주 40시간 근무 =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법정 기준)
    👉 시급 = 2,200,000 ÷ 209 ≒ 10,526원

3️⃣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실전 예시

✔️ 기준: 통상임금 시급 × 1.5배
✔️ 1일 8시간 초과 또는 1주 40시간 초과분이 대상

예)

  • 시급: 10,526원
  • 연장근로 2시간
  • 계산: 10,526 × 1.5 × 2 = 31,578원

4️⃣ 야간근로수당 계산법 실전 예시

✔️ 기준: 오후 10시~다음날 6시 사이의 근무
✔️ 시급 × 1.5배

예)

  • 시급: 10,526원
  • 야간근로 4시간
  • 계산: 10,526 × 1.5 × 4 = 63,156원

5️⃣ 연장+야간 겹칠 때? 이중수당 계산하는 방법

💡 복합 가산 공식

  • 시급 × 1.5배(연장) + 시급 × 0.5배(야간)
  • 또는: 시급 × 2.0배

예)

  • 시급 10,526원
  • 연장+야간 겹친 1시간 근무
  • 계산: 10,526 × 2.0 = 21,052원

6️⃣ 근무시간이 바뀌었다면? 탄력근무제 대응법

요즘은 탄력근무제, 선택근무제, 시차출퇴근제 등이 많아졌습니다.
그렇다면 이럴 때 연장근무 기준은 어떻게 바뀔까요?

✅ 탄력근무제 핵심

  • 일정 기간 내 평균이 주 40시간을 넘지 않으면 연장근로 아님
  • 하지만 일일 8시간 초과분은 여전히 연장수당 지급 대상일 수 있음 (기간에 따라 다름)

7️⃣ 근로시간 단축 후 야간수당 받을 수 있을까?

✔ 1일 6시간 근무라도
밤 10시~새벽 6시 사이 근무 시 야간근로수당은 반드시 지급!

👉 ‘총 근무시간’이 아니라 ‘야간 시간대 근무’ 여부가 핵심입니다!

8️⃣ 연장·야간근무수당 미지급 시 법적 대응 방법

✅ 단계별 대응

  • 1차: 회사 인사팀에 확인 요청
  • 2차: 고용노동부 신고 (1350)
  • 소멸시효 3년 이내 청구 가능

📌 증거자료 예시:

  • 출퇴근기록, 카톡, 메일, 근무표, 이체내역

9️⃣ 야간수당 적용 안 되는 예외 상황은?

✅ 관리자급 이상
✅ 재택근무(시간 통제 불가능)
✅ 간주근로시간제 대상

👉 단, 업무 지시·보고 체계가 있다면 근로자 간주 → 수당 대상 가능
📌 유권해석 필요

✅ 결론: 연장·야간근무수당은 정확한 계산과 근거로 내 권리 지키자!

✔ 연장근무 = 1.5배
✔ 야간근무 = 1.5배
✔ 겹치면 = 2.0배
✔ 변경된 근무제도에도 기준 명확히 적용
✔ 통상임금 기준 시급으로 계산

👉 수당은 권리입니다. 침해당하지 말고 정당하게 요구하세요!

📌 FAQ

Q1. 월급제인데 연장근무수당 따로 못 받나요?
👉 아닙니다. 연장근무가 있다면 반드시 별도 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Q2. 새벽 5시~8시까지 근무했는데 야간수당 되나요?
👉 5시~6시는 야간수당 적용됩니다.

Q3. 주 35시간 근무인데 연장수당 받을 수 있나요?
👉 하루 8시간 초과 근무가 있다면 가능합니다.

Q4. 관리자도 수당 받을 수 있나요?
👉 근로자 지위라면 가능합니다. 직책이 아닌 실질 기준!

Q5. 2년 전 수당도 청구 가능할까요?
👉 네! 임금채권은 3년 이내 소급 청구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